<선원소식> 화, 이해하면 사라진다 ◆ 선원장 일묵스님의 신간 "화, 이해하면 사라진다"가 출간되었습니다. 수행하면서 관찰한 번뇌에 대해서 반조하는 방법을 '화'에 적용시켜서 화의 조건인 탐욕과 어리석음을 이해하고 화를 버리는 지혜를 활용하여 화를 버리는 실전 수행 방법에 관한 책입니다. 근간 사성제에 비해 편하고 쉽게 읽을 수 있는 책이면서 화와 관련된 구체적인 이야기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자신의 화를 버리는 수행에 좀 더 직접적으로 도움을 받으실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화, 스트레스, 걱정, 공포, 우울, 슬픔, 분노가 많아서 고민이 많으신 분들이나 반조를 해야 한다고는 생각은 하는데 어려워서 잘 못하겠다고 느끼시는 분들께 더 많은 사례와 함께 구체적인 반조의 방법을 알아보는 과정을 통해 불교 수행의 감을 잡아나가시는 데 큰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 7월 말부터 2~3주에 걸쳐서 수요정기법회에서 이 책을 기반으로 화를 이해하고 버리는 방법'에 대한 법문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 <화, 이해하면 사라진다> 책 온라인 구입처 '더 큰 글씨 책'과 'e-book'은 8월 초에 출간 예정입니다. <법문듣기> 2021년 6월 23일 제따와나선원 수요정기법회 <번뇌 즉 보리다? 행복한 수행을 위한 지혜> 법문 중에서... "어떻게 하면 번뇌를 통해 지혜가 생길 수 있을까요?" 다음 7가지 마음가짐을 가지면 도움이 됩니다. 1) 우선 자기 마음의 번뇌를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익한 법과 해로운 법을 구분하는 바른 견해를 가지고, 번뇌가 일어났을 때 번뇌라고 알아야 합니다. 2) 번뇌는 조건 발생한 법일 뿐이니, 번뇌와 자신을 동일시하지 말아야 합니다. 번뇌를 발견할 때 마다 ‘내 번뇌, 나’라고 생각하면 수행이 힘이 듭니다. 번뇌가 해롭긴 하지만 그럼에도 조건 발생인 마음일 뿐이라고, 지혜로운 주의(yoniso manasikāra)로 보아야 합니다. 3) 자신에게 일어나는 번뇌에 대해 관대해야 합니다. 우리가 아라한이 아닌 이상 번뇌가 일어나는 것은 당연합니다. 또한 번뇌는 나 뿐만 아니라, 모두에게 다 일어납니다. 그러니 번뇌를 일으켰다고 너무 자책하지 마십시오. 이 번뇌에 지혜롭게 대처하면 번뇌는 지혜를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습니다. 번뇌 속에는 부처님의 통찰이 담겨 있기 때문입니다.
자기 실수에도 관대해 지는 것이 좋습니다. 완벽주의를 버려야 합니다. 수행은 완전한 존재가 되는 것이 아니라, 존재의 무상, 고, 무아 - 불완전성을 깨닫는 과정입니다. 수많은 실수들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노련한 수행자가 됩니다. 4) 번뇌를 통찰하는 즐거움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세생생 윤회하며 괴로움을 겪게 하는 원인인 번뇌를 알게 된 것은 감사한 일입니다. 또한 번뇌의 조건을 파악하는 과정에서 지혜가 생깁니다. 번뇌 뒤의 갈애, 그 밑의 어리석음을 버리는 과정에서 세상에 대한 진리를 아는 지혜, 사성제의 지혜가 생깁니다. 이렇게 번뇌를 통찰하며 세상의 진리를 하나 하나 알아 가는 행복, 법열은 수행의 큰 기쁨입니다. 5) 지혜 등 선법이 생겼을 때 기뻐하고 자신을 인정하고 칭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것이 자신에 대한 자애입니다. 혹여 선법에 욕망과 자만이 붙으면, 그 번뇌 또한 잘 대처하고 버리면 됩니다. 자신을 몰아붙이지 마십시오. 이는 세속적인 방식입니다. 수행은 괴로움을 주는 마음을 내려놓고 쉬는 것입니다. 6) 자신의 조건에 맞게 수행해야 합니다. 살아온 여정이 다르기에, 사람들은 저마다 번뇌의 정도도 다르고 현재 처한 조건도 다릅니다. 서로 다른 조건의 수행자들끼리 비교하는 것은 무의미합니다. 그러니 자신의 수행을 남들과 비교하지도 말고, 경쟁하지도 마십시오. 수행은 철저히 자신의 문제입니다. 자기 조건에 맞게, 자기 페이스대로 수행을 하면 됩니다. 7) 결과를 바라지 말고 조건을 성숙시켜야 합니다. 조급함은 결과에 대한 욕심입니다. 그저 수행이 잘 될 수 있는 조건을 지혜롭게 헤아려, 조건을 성숙시키기 위해 노력하면 됩니다.
이와 같이 번뇌에 지혜롭게 대처하면, 번뇌를 통해 지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모든 존재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 부처님의 바른 법을 수호하고 널리 알리기 위해 노력하겠습니다. (클릭하시면 보시자 명단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한불교조계종 제따와나선원 강원도 춘천시 남면 윗박암길53 t: 033-262-4812 |
2주 마다 반조레터를 배달합니다.